티스토리 뷰

반응형

USDT vs USDC, 무엇을 선택해야 할까?

🔎 핵심요약

  • USDT(테더): 2014년 출시, 글로벌 거래량 1위
  • USDC(서클): 2018년 출시, 제도권 신뢰 강점
  • USDT = 유동성·거래소 활용 / USDC = 투명성·금융기관 협업

🧑‍🚀 USDT, 가장 오래된 스테이블코인

USDT는 2014년 테더(Tether)사가 발행했습니다.
암호화폐 시장 초창기부터 거래소 간 자금 이동에 핵심 역할을 했으며, 한동안 글로벌 거래량 1위를 차지했습니다.
  • 장점: 유동성 풍부, 전 세계 거의 모든 거래소에서 사용 가능
  • 한계: 준비금 신뢰성 논란, 규제 압박으로 금융기관 협업에 제약

⚙️ USDT의 준비금 논란

초기에는 달러 대신 기업어음·기타 자산으로 담보를 두었다는 사실이 드러나며 신뢰 문제가 불거졌습니다.
최근엔 분기별 감사 보고서를 내며 투명성을 강화했지만, 완전한 신뢰는 여전히 부족한 상황입니다.

👤 USDC, 제도권이 신뢰하는 스테이블코인

USDC는 2018년, 서클(Circle)과 코인베이스가 주도해 발행했습니다.
미국 규제 환경에 맞춘 구조를 갖추고, 월 단위 준비금 보고서를 공개하며 은행 예금·미국 국채를 담보로 둡니다.
  • 장점: 규제 친화적, 글로벌 금융기관·결제 네트워크(비자, 마스터카드)와 파트너십 강점
  • 한계: 은행 리스크에 노출 (예: SVB 파산 시 준비금 일부 묶임)

🧠 USDT vs USDC 비교 정리

구분 USDT (테더) USDC (서클)
출시연도 2014년 2018년
발행 주체 테더사 서클·코인베이스
강점 글로벌 유동성 1위 제도권 신뢰·투명성 1위
담보 구조 현금+기업어음+기타 자산 은행 예금·미국 국채
규제 친화성 낮음 높음
주요 사용처 거래소 간 송금, 트레이딩 금융기관·기업 결제, 웹3 연계

📌 결론: 어떤 코인을 선택할까?

- 거래소에서 빠른 자금 이동이 필요하다면 👉 USDT
- 기관·기업, 규제 안정성이 중요하다면 👉 USDC

즉, USDT는 “글로벌 유동성 1위”, USDC는 “제도권 신뢰 1위”로 요약할 수 있습니다.
반응형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Total
Today
Yesterday
링크
«   2025/09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글 보관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