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USDT vs USDC, 무엇을 선택해야 할까?
namu15
2025. 9. 5. 19:15
반응형
🔎 핵심요약
- USDT(테더): 2014년 출시, 글로벌 거래량 1위
- USDC(서클): 2018년 출시, 제도권 신뢰 강점
- USDT = 유동성·거래소 활용 / USDC = 투명성·금융기관 협업
🧑🚀 USDT, 가장 오래된 스테이블코인
USDT는 2014년 테더(Tether)사가 발행했습니다.
암호화폐 시장 초창기부터 거래소 간 자금 이동에 핵심 역할을 했으며, 한동안 글로벌 거래량 1위를 차지했습니다.
암호화폐 시장 초창기부터 거래소 간 자금 이동에 핵심 역할을 했으며, 한동안 글로벌 거래량 1위를 차지했습니다.
- 장점: 유동성 풍부, 전 세계 거의 모든 거래소에서 사용 가능
- 한계: 준비금 신뢰성 논란, 규제 압박으로 금융기관 협업에 제약
⚙️ USDT의 준비금 논란
초기에는 달러 대신 기업어음·기타 자산으로 담보를 두었다는 사실이 드러나며 신뢰 문제가 불거졌습니다.
최근엔 분기별 감사 보고서를 내며 투명성을 강화했지만, 완전한 신뢰는 여전히 부족한 상황입니다.
최근엔 분기별 감사 보고서를 내며 투명성을 강화했지만, 완전한 신뢰는 여전히 부족한 상황입니다.
👤 USDC, 제도권이 신뢰하는 스테이블코인
USDC는 2018년, 서클(Circle)과 코인베이스가 주도해 발행했습니다.
미국 규제 환경에 맞춘 구조를 갖추고, 월 단위 준비금 보고서를 공개하며 은행 예금·미국 국채를 담보로 둡니다.
미국 규제 환경에 맞춘 구조를 갖추고, 월 단위 준비금 보고서를 공개하며 은행 예금·미국 국채를 담보로 둡니다.
- 장점: 규제 친화적, 글로벌 금융기관·결제 네트워크(비자, 마스터카드)와 파트너십 강점
- 한계: 은행 리스크에 노출 (예: SVB 파산 시 준비금 일부 묶임)
🧠 USDT vs USDC 비교 정리
구분 | USDT (테더) | USDC (서클) |
---|---|---|
출시연도 | 2014년 | 2018년 |
발행 주체 | 테더사 | 서클·코인베이스 |
강점 | 글로벌 유동성 1위 | 제도권 신뢰·투명성 1위 |
담보 구조 | 현금+기업어음+기타 자산 | 은행 예금·미국 국채 |
규제 친화성 | 낮음 | 높음 |
주요 사용처 | 거래소 간 송금, 트레이딩 | 금융기관·기업 결제, 웹3 연계 |
📌 결론: 어떤 코인을 선택할까?
- 거래소에서 빠른 자금 이동이 필요하다면 👉 USDT
- 기관·기업, 규제 안정성이 중요하다면 👉 USDC
즉, USDT는 “글로벌 유동성 1위”, USDC는 “제도권 신뢰 1위”로 요약할 수 있습니다.
- 기관·기업, 규제 안정성이 중요하다면 👉 USDC
즉, USDT는 “글로벌 유동성 1위”, USDC는 “제도권 신뢰 1위”로 요약할 수 있습니다.